본문 바로가기

Journal & Pic/일기

상대방 말의 자잘한 뉘앙스나 상황에 상대방 말의 자잘한 뉘앙스나 상황에 너무 몰입 상상 하지 말자. 붙잡고 있는 내 시간 아까움. 할말만 제대로 하면 그만. 더보기
요즘 얼마전 남편과 그런 말을 했다. 요즘은 참 걱정없는 날을 보내고 있는 게 감사한 일이라고. 요새 모든 일들은 불안감도 비교적 낮고 평안한 편이다. 하지만 가진자가 잃을 것이 있다고 했나. 그런 생각으로 돌이켜보면 최근 나의 최대 걱정은 지금의 행복이 깨지게 만드는 모든 것이다. 더보기
요새의 어떤 만남은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요새의 어떤 만남은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대화는 겉돌고 상대의 조바심을 느꼈으며 나는 집중할 수가 없었다. 근황 점검 이하도 이상도 아닌 화제의 결핍 그리고 억텐감정까지 뭔가 합이 맞지 않는 그런 기분이었다. 내가 대화할 준비가 안된 것은 아닌가 생각해봤다. 심도 깊은 이야기를 길게 나누기에 내 요즘 상황은 육아 덕분에 시간 공간 타이밍 모두 어려운 걸 인정한다. 사실 그 세가지가 모두 맞춰지지 않으면 보기조차 어려운 현실이다. 기꺼이 그 조건을 다 맞춰 날 만나러 와준 이 정도의 얼마 안남은 관계에서는 짧은 마중만으로도 바로 깊게 들어 수 있다. 언제는 만남에 준비씩이나 하고 기다렸다고. 그렇지 않은 이들은 이 휴직기간에 아예 볼 생각도 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게 뭘까. 뭐가 잘못됐을까. 그 감정의.. 더보기
모르는 사람이 좋아요 계속 누르면 불편한 거 나뿐인가 모르는 사람간의 예의는 섣불리 아는척 하지 않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편이다. 다르게 말하면 ​조심스럽게 다가간다고 할까. 본인이 외향적이고 내성적인 걸 떠나서 받아들이는 상대방에게 어떨지 한발짝 물러나 관찰하고 적당한 강도와 타이밍에 다가가야 하는 거 아닌가 내가 너무 예민한가? ​ 더보기
잔상 흔한 느와르 장르영화만 봐도 잔상에 시달리는 편인데 이번 사건의 날 것 영상은 그 몇배 이상일 것이었다. ‘고인의 존엄을 위해서도 나 자신을 위해서도 재난현장 영상을 보지 말 것’을 그 자정 누군가의 당부 글에서 읽었고 난 실시간 뉴스를 보려고 켰던 트위터를 종료했다. 다음날 아침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성명을 접했는데 이것이 나만의 개인적 문제가 아니며 전국민의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깊이 공감했다. 그런 모두의 의지와 마음을 모아 사진과 영상의 게재와 시청을 자체 검열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할 수 있지만 쉽게 내딛기는 어려운 한 단계 높은 시민의식일 것이다. 몸 만큼이나 마음의 병을 인정하고 조심하는 문화가 서서히 자리잡는 것 같아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더보기
정돈 정돈되지 않은 공간을 보는 것이 꽤나 불편한 것임을 이제서야 깨닫는다. 그간 나의 공간은 얼만큼 정돈되어 있었을까. 어렸을 적에는 마구 어질러져 있어도 괜찮던 것이 언제부터 불편해지기 시작하는 걸까. 이것 역시 사회적인 것인가. 치우는 것이 ‘일’로 인식되고 내게 남은 에너지와 오늘 해야할 일을 눈으로 보고 무엇이 더 큰 지 가늠하는 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걸까. 더보기
불편한 술자리 내가 왜 이사람이 갈수록 불편한가 하면 질투심이 원천일수도 있다. 정확히는 질투보다 , 그냥 비슷한 경력을 가져간 사람이 앞에서 비슷한 얘기를 하는 걸 듣는데 뭔가 나는 그보단 조금씩 부족한 느낌을 느끼며 드는 자괴감? 자격지심? 저사람은 나를 그렇게 보지도 않고 굳이 우열을가릴 필요도 없는, 서로 경쟁해야 할 위치가 아님에도 내가 스스로 느끼는 것. 그와중에 뭔가 더 나은 경쟁력을 갖출 생각은 하지 않고 그저 비교만 하고있는 한심한 나의 작태. 내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사람을 똑같이 알고있고, 나와 비슷한 경험과 경력사이에서도 미묘하게 조금씩 나보다 앞선 것? 내가 윗사람이라면 둘중에 고를때 나를 굳이 고르지 않을것 같은 기분? 승부욕 같은 거라기보다, 그냥 부족한 나를 자꾸 인지하게 하는 저 서람한테 .. 더보기
쓰기에 대한 잡생각 블로그에 편하게 글을 쓰다가도 가끔 불편해질 때가 있다. 쓰고 싶은데 잘 못 쓰고는 답답해하기만 한다. 요새가 그렇다. 어떤 주제의 글들을 기획하면 거기에 얽매이게 되는 것 같다. 글의 길이도 그렇고 첨부하는 사진도 그렇다. 아무것도 아닌데 아무도 뭐라하지 않고 아무도 관여 않는데 나만 혼자 그렇다. 80%만 솔직하고 20%은 숨긴 채 솔직한 척 쓰는 걸 잘 하지 못한다. 20은 오픈하기 싫은데 나란 인간은 20과 80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아 지금 이런 기분과 감정인 것이니 80도 설명하지 못한다. 모바일 쓰기 환경이 편해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폰으로 쓰기를 시원하게 늘어놓기란 어려운 일이다. 손목이 너무 아파. 아니 내 폰이 너무 무거워. 심지어 케이스도 없는 생폰인데 대체 나는 왜 이렇게 쓰기에 집착.. 더보기